한국어 호칭에대해 조사했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22 15:35
본문
Download : 한국어 호칭.hwp
^^ 목차 및 미리보기 참조 해주세요. ★☆★☆★☆★☆★☆★☆★☆★☆★☆★☆★☆★☆★☆★☆★☆★☆★☆★☆★☆★☆★☆★☆
2.1.3 직함형 호칭
★☆★☆★☆★☆★☆★☆★☆★☆★☆★☆★☆★☆★☆★☆★☆★☆★☆★☆★☆★☆★☆★☆
1.호칭어의 정이와 유형
1.2 호칭어의 유형
이 글에서는 이 같은 견해를 따르지 않고 호출어와 호칭어를 합쳐서 생각하였는데, 그 이유는 호출어가 상대방의 관심을 이미 얻은 상태에서도 주의 환기를 위해 사용되기도 하는 등, 단순히 상대방의 관심을 얻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기도 하고, 호칭어도 단순히 호출만을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어서 둘을 완전히 다른 개체로 분리하여 생각하기가 애매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호칭어를 발화 상황 중에 상대방을 지칭하거나 호출하는 모든 단어로 정이하고자 한다. 황적륜(1975)은 호칭의 종류를 대명사형 호칭, 이름형 호칭, 직함형 호칭, 외래어형 호칭, 은유적 호칭, 친족명 호칭, 종자명 호칭으로, 박갑수(1989)는 감탄사형호칭 , 성명-접사형 호칭, 신분명형 호칭, 친족어 대용형 호칭, 성명형 호칭, 대명사형 호칭, 명사형 호칭, 택호형 호칭, 외래어형 호칭으로, 이익섭(1994)은 대명사 호칭, 성명과 직함 호칭, 친족 호칭으로 정리(整理) 하였으며
2.1.1 이름형 호칭
1.2 호칭어의 유형
목차
다. 그는 호칭이 상대방을 부르는 용도로 사용된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상대방의 부르는 경우가 오히려 호칭보다는 비언어적인 장치나 영어의 “Hey” 같은 것들에 의한 경우가 많다고 생각해 호출과 호칭을 분리하여 생각하였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한국어 호칭어 유형 및 용법
2.2.1 친족 사용 친족 호칭
한국어 호칭에대해 조사했습니다.
본문내용
2.3 사회형 호칭
2. 호칭어의 용법과 속성
2.4.1~2 주의 끌기 호칭, 처소 호칭
한국어 호칭에대해 조사했습니다.^^
한국어호칭, 호칭어정의, 호칭어유형, 호칭어용법, 호칭어특성, 명사형호칭, 친족형호칭, 사회형호칭, 비관계상황호칭
2.1.2 대명사형 호칭
1.1 호칭어의 정이
1. 호칭어의 정이와 유형
1.1 호칭어의 정이
호칭어의 유형은 그동안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다양한 분류방식을 통해 연구되어 왔다. Braun(1988)의 경우는 상대방을 부르는 것을 호출로 규정짓고 호칭은 대화 상대방을 부르는 말로 한정지어 說明(설명) 하였다.^^
호칭어의 정이는 그동안의 연구를 볼 때 각각 다르게 정이되어 왔다. Fasold(1990)의 경우에도 호칭이란 화자가 상대방과 이야기 하면서 그 상대방을 가리키는데 사용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또한 호칭은 상대방의 관심을 이미 얻고 있을 때 사용되며 호출어는 그 관심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고 하여 호칭과 호출어를 청자의 관심유무에 의해서 구분하였다. 이 선화 「공공 상황에서의 한국어 호칭 연구」,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6. 10쪽
순서
2.1 명사형 호칭
2.3.1 종자명호칭
목차 및 미리보기 참조 해주세요.
Download : 한국어 호칭.hwp( 75 )
2.2.2 비친족 사용 친족 호칭
2.3.2 종지명호칭
2.4 비관계 상황 호칭
설명
2.2 친족형 호칭
3. 마치며
★☆★☆★☆★☆★☆★☆★☆★☆★☆★☆★☆★☆★☆★☆★☆★☆★☆★☆★☆★☆★☆★☆ 한국어 호칭에대해 조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