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왕생가의 생성 배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3 22:41
본문
Download :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hwp
향가 전반, 또는 개별 작품의 현대적 재구나 시적 해명에 관한 거의 모든 정보를 산문 전승으로부터 도출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유사」에 전하는 향가 작품과 산문 전승과의 관계는 이처럼 긴밀하다. <원왕생가> 연구에 있어 가장 큰 논의의 쟁점은 작자문제였다. 따라서 이 글의 논지는 광덕엄장전승 자체의 개별적 property(특성)을 밝히는 데서 출발하며, <원왕생가>와의 관계를 재인식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된다. 전승 민요 또는 원효설은 위의 명제를 거부하는 입장에서 출발하나, 증거제시가 불충분하여 논리적 설득력을 얻는데 실패하고 있다
▶양주동 현대역
Download :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hwp( 55 )
아야 이 모다 기텨 두고
그리는 이 있다 사뢰소서.
四十八大願 일고샬까
그러나 이 사실에 대한 맹목적인 확신은 다분히 위험성을 내포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작품 해명의 정보를 산문 전승이 담고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향가 작품이 다 그러한 관계로 결속되어 있다고 단정짓기는 어렵다. 물론 그러한 검토 과정을 통해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을 해명하면서 작품 이해의 방향을 정립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라리 엇뎨역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
(아야 차신유야치견)
無量壽佛前의
1. 원문과 배경설화
(모인유여백견사립)
일러 사뢰옵소서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
.
願往生願往生
다딤 기프샨 尊어 울워러
아으 이몸 기텨 두고
(원왕생원왕생)
설명
月下伊低亦
無量壽佛前에
西方 장 가샤리고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마흔 여덟 가지 소원을 이루실까.
서방 정토까지 가시려는가.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
달님이 어째서
달님이시여, 이제
無量壽佛前乃
.
그릴사 잇다 고샤셔
四十八大願 이루실까.
▶김완진 현대역
誓願 깊으신 부처님을 우러러 바라보며,
惱叱古音多可支白遣賜立
두 손 모도 고조
두 손을 모아,
(가시거든) 무량수불 앞에
작품과 산문 전승의 관계 정립은 이러한 축자적(逐字的)문맥 이해를 넘어서서 각각의 독자적 property(특성)을 검출해 낼 때 가능해진다. 이는 빈약한 향가 문학의 자료적 형상에 비추어 매우 다행한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願往生歌>
無量壽佛前에
곰 함 고쇼셔.
西方장 가시리고.





순서
阿耶 此身遺也置遣
(서음심사은존의희앙지)
慕人有如白遣賜立
다. 이를 경시할 때, 때로는 산문 전승으로 말미암아 작품의 실상이 오도될 소지도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향가의 해명 열쇠는 분명히 함께 기록된 산문 전승 속에 내재해 있다
원왕생원왕생
아아, 이 몸 남겨 두고
두손 모도호
四十八大願成遣賜去
報告의 말씀 빠짐없이 사뢰소서.
願往生 願往生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
맹세 깊으신 부처님에게 우러러
(월하이저역)
(뇌질고음다가지백견사립)
(사십팔대원성견사거)
왕생을 원하여 왕생을 원하여
誓音深史隱尊衣希仰支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
<원왕생가>는 이러한 위험 가능성의 점검이 전제되어야 할 대표적인 사례(instance)로 보인다. 오히려 그렇지 않을 가능성도 당연히 고려된 신중한 관계검토가 작품 해명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광덕(廣德) 또는 광덕처설(廣德妻說)은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이 광덕엄장전승(廣德嚴莊傳承)임을 자명한 명제로 수용하는 선험주의적 태도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명제의 진위가 곧장 입론의 타당성을 결정해 버린다. 때문에 광덕엄장전승이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이 아닌 증거가 제시될 경우는 입론 그 자체가 허망한 논의로 전락하게 된다된다.
Ⅱ. 광덕엄장전승의 설화적 위상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
(무량수불전내)
다딤 기프신 옷 라 울워러,
.
願往生願往生
서방까지 가시겠습니까.
▶양주동 해독
하 이뎨
西方念丁去賜里遣
▶김완진 해독
곰다가 고샤셔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
兩手集刀花乎白良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
그리워하는 사람이 있다고 사뢰소서.
두 손 곧추 모아
그리리 잇다 고쇼셔.
(서방념정거사리견)
아아, 이 몸 남겨 두고
원왕생가의 생성 배경
四十八大願 일고실가.
(양수집도화호백양)
「삼국유사」소재의 향가는 14수 모두가 산문전승과 함께 기록되어 전한다는 특징을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