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제작론] 라디오 CM 제작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3:22
본문
Download : [문화제작론] 라디오 CM 제작론.hwp
라디오 CM 제작론
1.CM과 環境(환경)change(변화)
방송은 문자를 요구하지 않는다. 전인구의 28%가 문맹층(1960년도 재건국민운동본부 발표에 의거)으로 지적(知的) 훈련이 되어 있지 않았으며 전국 농어촌 전화율(電化率)이 겨우 12%(1964년도) 정도에 머물러 대중의 매체 접촉율 역시 또한 극히 한정되어 있었다. 한편으로는 매스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창출되는 새 생활의 양식과 함께 CM은 농어촌의 전통적인 풍습과 環境(환경)을 넘어서서 도시적 형태의 생활 풍습에 익숙해지도록 농어촌과 도시를 등질화 시키는데 큰 몫을 하였다.
Download : [문화제작론] 라디오 CM 제작론.hwp( 96 )
설명
[文化(문화)제작론] 라디오 CM 제작론
CM은 커머셜 메시지의 약칭으로서, 정보산업 사회를 업고 등장한 전파 매체인 라디오와 텔레비젼을 이용하는 광고 메시지를 일컫는다.
[문화제작론] 라디오 CM 제작론
당시는 대중적 기반이 미국식의 확산형 커뮤니케이션을 받아들일 아무런 준비도 없는 취약한 상태였다. 언어나 영상을 귀와 눈에 바로 보내줌으로써 文化(문화)를 전달할 수 있고 文化(문화)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이 방송, 특히 라디오의 特性(특성)이다. 우선 방송의 역사를 생각하기에 앞서 CM이 우리 사회의 文化(문화) 변동에 미친 influence을 생각해보자.
다.
CM이라고 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양식이 등장한 지도 30년이 넘어 이제는 CM이 우리의 생활 속에 뿌리 깊이 정착되어 있다. 더불어 전통적 양식은 급속히 유사품속에 매몰되면서 그 신선미를 상실당하게 되었다. 그리고 대량 생산 방식에 의한 대량 전달 수단에서의 CM이 아니라 1차 산업에 머문 상태에서의 CM이 있었을 뿐이다.
CM은 제공자의 상업적 이익을 목적으로 함이 대부분이지만, 공공의 복지와 사회문제에 관심을 일깨우는 메시지도 있다.
상업 방송의 탄생으로 CM이 등장한 60년대 초기의 우리 사회는 정보의 샌산 가공 방법으로 전달하는 CM을 받아들일 文化(문화)적․경제적․사회적 풍토가 마련되지 않았다. 이를 특별히 일반 CM(상품CM)과 구분하여 공공 CM이라고 부른다. 수신기 역시 그나마 앰프촌을 중심으로 가가호호에 스피커를 부설한 정도의 열악한 環境(환경)에 있었다.
[문화제작론] 라디오 CM 제작론 - 대학 레포트 제출자료
[문화제작론] 라디오 CM 제작론 - 대학 리포트 제출data(자료)
머리말
본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CM은 오늘날 커뮤니케이션과 함께 marketing 수단의 하나로서 고도의 커뮤니케이션 테크닉이 요구되는 이 시대의 총아이기도 하다. 이에따라 도시 문명에서 소외 격리되고 봉건적인 인습이 강한 농촌에서는 ‘세상소식’에 밝아 졌다라는 감탄사가 절로 나오자마자 숨쉴 겨를도 없이 ‘文化(문화)적 충격’을 준 즐거운 방법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새로운 양식인 CM을 접하고 그 influence을 받게 되었다.
커머셜 메시지는 다른 매체의 광고 정보, 즉 신문 광고 정보, 즉 신문광고․잡지광고․옥외광고․전단광고․점두 광고 등에서도 같은 의미로 해석되어, 커머셜로 혼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기 위해 CM앞에 TV․라디오를 넣어 TV CM, 라디오 CM으로 불리우고 있다. CM은 라디오의 경우 나래이션․음악․효능음 등으로 구성되는데, 짧은 메시지를 시청취자에게 전달하여 제공자가 의도하는 바를 일깨워 주는 행위를 그 목적으로 한다.
순서
![[문화제작론] 라디오 CM 제작론-2135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AC%B8%ED%99%94%EC%A0%9C%EC%9E%91%EB%A1%A0%5D%20%EB%9D%BC%EB%94%94%EC%98%A4%20CM%20%EC%A0%9C%EC%9E%91%EB%A1%A0-2135_01.gif)
![[문화제작론] 라디오 CM 제작론-2135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AC%B8%ED%99%94%EC%A0%9C%EC%9E%91%EB%A1%A0%5D%20%EB%9D%BC%EB%94%94%EC%98%A4%20CM%20%EC%A0%9C%EC%9E%91%EB%A1%A0-2135_02_.gif)
![[문화제작론] 라디오 CM 제작론-2135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AC%B8%ED%99%94%EC%A0%9C%EC%9E%91%EB%A1%A0%5D%20%EB%9D%BC%EB%94%94%EC%98%A4%20CM%20%EC%A0%9C%EC%9E%91%EB%A1%A0-2135_03_.gif)
![[문화제작론] 라디오 CM 제작론-2135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AC%B8%ED%99%94%EC%A0%9C%EC%9E%91%EB%A1%A0%5D%20%EB%9D%BC%EB%94%94%EC%98%A4%20CM%20%EC%A0%9C%EC%9E%91%EB%A1%A0-2135_04_.gif)
![[문화제작론] 라디오 CM 제작론-2135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AC%B8%ED%99%94%EC%A0%9C%EC%9E%91%EB%A1%A0%5D%20%EB%9D%BC%EB%94%94%EC%98%A4%20CM%20%EC%A0%9C%EC%9E%91%EB%A1%A0-2135_05_.gif)
70년대 중반에 들어서서부터는 전화율이 90%를 상회하고 국산 수신기의 대량생산으로 수신기 보급이 원활해져 文化(문화) 형성의 대중화를 가져 왔다.